[45rich] 경기도 아파트 분석 및 전망 – 1탄

[45rich’s 4번째 부동산 이야기] – 경기도 아파트 분석 및 전망 – 1탄

안녕하세요~ 45rich입니다.

오늘은 [경기도] 아파트에 대해 현재 흐름 및 향후 전망에 대해 분석해보도록 하겠습니다 ㅎㅎ

먼저 전국의 흐름 살펴볼까요??

1. 전국 권역별 증감율 비교

경기도 아파트

9월 한달간 매매/전세 모두 상승한 모습입니다.
매매는 0.22, 전세는 0.56으로 전세가 매매보다 많이 오른 모습이네요

2. 전국 매매전세 시계열

경기도 아파트

전국의 월간 kb매매 시계열입니다.
경기도는 ‘22.7월부터 하락하다가 ‘23.1월에 하락폭이 정점(-2.8)을 찍고 점점 하락폭이 감소하면서
‘23.8월에는 +로 전환되었네요. 평균이 +되었으니 상급지 애들은 더 빨리 상승 했겠죠?

현재 서울, 경기, 세종, 대전, 충북, 강원 정도만 상승으로 전환되었고 나머지 지방은 아직 계속 하락중이네요.

경기도 아파트

다음은 kb전세시계열입니다.
전세도 8월부터 상승으로 전환되었네요.

세종이 매매와 전세가 타지역보다 빨리 상승 전환된걸 볼 수 있는데 상대적으로 빨리, 많이 하락하다보니 그만큼 반사작용으로 반등이 빨리, 많이 온거 같습니다.

3. [경기도 아파트] 매매전세 지수

경기도 아파트

2008년부터 현재까지 ‘22.7월 기준으로 매매/전세지수를 나타낸건데요.
코로나 이후 매매와 전세 모두 급격히 상승하다가 ‘22.7월 이후 매매/전세 모두 급격히 감소하게 되는데
매매보다는 전세의 기울기가 가파르죠? 전세가 매매보다 가파르게 하락했습니다.

경기도 아파트

왜 전세가 더 감소했을까요?
위에 그림은 경기도 주담대(빨간색)와 전세자금대출(파란색) 금리를 나타낸 차트인데요.
이 시기에 보면 전세자금대출 금리가 주담대 금리보다 가파르게 상승하여 주담대 금리를 초과하여 찍은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부동산이 금융화 되면서 금리의 영향이 커졌는데 매매보다 전세 관련된 금리가 더 커지다 보니 영향을 받아 많이 감소한 모습이네요. 물론 임대차 3법으로 그 전에 전세가가 과도하게 상승한것도 한 몫했다고 보여집니다.

경기도 아파트

매매보다 전세가가 더 하락하니 자연스럽게 전세가율(보라색)이 계속 하락했구요.
하지만 올해 2월부턴 전세가율이 바닥을 찍고 반등하고 있네요

4. [경기도 아파트] 공급물량

(1) [인허가 물량]

경기도 아파트

[국토부 아파트인허가 통계]인데요.
올해가 다 간건 아니지만 현재까지 약 4만건으로 적은편입니다. 보통 아파트 하락기에 인허가 및 분양 물량이 줄고 상승기에 물량도 많아지는데요.
올해는 아파트 값이 많이 떨어지다보니 인허가 물량도 많이 줄었네요. 이 적은 인허가 물량이 향후 2~3년 뒤 공급부족으로 다가올 수 있습니다. 그럼 하락보단 상승여력이 더 높아지겠죠.. 이렇게 또 부동산 사이클이 생길 확률이 커보이네요~

(2) [입주 물량]

입주물량도 한번 보도록 하겠습니다.

경기도 아파트

2027년까지 입주물량입니다.
파란색 막대그래프가 분양예정된 확정 입주 물량이구요
녹색 점선이 인허가 당시 기준으로 입력된 준공예정 물량입니다.

그리고 옆에 빨간색으로 긴 막대바가 있죠?
이건 인허가는 받았는데 아직 분양을 하지 않은 물량인데요. 약 112,000개 입니다.
인허가는 받았는데 아직 분양을 안했다는 말은 아직 착수를 안했거나
착수를 해서 시공중인데 분양을 아직 안했다고 볼 수 있는데요.

그 뜻은 ‘후분양’ 아파트 이거나 착수를 연기한 게 되겠죠.
하락장에 전형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인데요.

착수를 무한정 연기할 순 없으니 기한이 도래하면 착수를 하게 되겠고
후분양도 준공이 임박하여 분양을 하면 저 ‘빨간색’바도 줄어들어 해당년도에 파란색바(분양)로 채워질텐데요.
시간이 지나면 그림에 보이시는 [인허가 당시 기입한 준공예정일] 선과 확정 [입주물량] 선 사이에 빨간색바의 물량이 채워질겁니다.

그걸 감안해도 2026년부터는 평균 수요선보다 공급이 적어지는 시기가 오겠네요.
이때 금리나 정책 등 대외 환경만 받쳐준다면 상승기가 올 수 있겠네요.

5. [경기도 아파트] 미분양

경기도 아파트

미분양은 올해 1월에 총 약 8천개, 준공 후 미분양 595개로 2008년~2015년도 까지의 미분양 물량에 비하면 아주 적은 수준이구요. 1월을 정점으로 점점 감소하고 있기 때문에 시장에는 좋은신호로 보여지네요.

6. [경기도 아파트] 청약

경기도 아파트
경기도 아파트

청약 분위기도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경기도 아파트 청약가점은 2017년도 이후 약간 하향추세이네요.
하지만 아직 40점 이상으로 완전히 얼어붙은 분위기는 아니고 입지와 분양가에 따라 완판여부가 갈릴꺼 같습니다.
최근 오산시 벌음동 오산세교2지구A-13블록호반써밋도 일부타입 청약미달이 생겼지만 84타입은 4.91:1로 청약가점 42점이네요.

경기도 지역분석을 위한 중요한 지표들이 많이 남았는데요.
이번 포스팅에 담기엔 너무 길어질거 같아
내일 2탄 준비해서 찾아뵙도록 하겠습니다~!

※ 그림 및 데이터 출처 : 순품왕 홈페이지 [https://www.sonpum.com/web/sonpumMain.do]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