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11월] 수도권 아파트 매물수 증감

[‘23.11월] 수도권 아파트 매물수 증감

오늘은 전월대비 매물수 변화(‘23.11월 기준)를 한번 알아보고
현재의 부동산 시장의 분위기와 앞으로의 방향에 대해서도 한번 얘기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전월대비 매물수 증감수/증감율(‘23.11월 기준)

1.1 매매 매물수

수도권 아파트

<‘23.11월 매매 매물수 증감>

[네이버 부동산] 기준 ‘23.11월 한달간
수도권 아파트의 매매 매물수 증감수 및 증감율입니다.(분양권 제외)

빨간색이 한달간 매물수가 감소한 지역이고
파란색이 한달간 매물수가 증가한 지역인데요.

부동산 공급에서는
신규 아파트의 공급량 이외에도 구축 아파트의 공급량도 중요한데요.

아파트 수요/공급 측면으로 봤을때,
구축 아파트의 매물수가 감소하면 시장에 공급이 감소하는것 이므로
부동산 시장의 상승에 긍정적은 요소라고 볼 수 있겠죠.

‘23.11월에는
증가한 지역(파란색)도 많이 있지만
특히 서울을 중심으로 감소한 지역(빨간색)도 많아 보입니다.


고무적인건

수도권 아파트

<‘23.1~10월 매매 매물수 증감>

위의 자료를 보시면 알 수 있는데요.

수도권은 올초부터 ‘23.10월까지 지속적으로 많은 수의 구축 매물의 증가하였습니다.

하나도 빠짐없이 짙은 파란색이 나타나는걸 볼 수 있죠.


그렇기에 이번 11월의 매물수 변화는 중요한 부분이라고 생각됩니다.

앞으로 매물수가 계속 감소하면 좋겠지만

매물수 상승세가 이제 확실히 꺽인건지, 일시적인 건지는 좀 더 지켜봐야 할것 같네요.

위에서 매물수가 많이 감소한 지역 상위 3군데의 지역의 매물수를 자세히 보도록 하겠습니다

(1) 파주시

수도권 아파트

<‘23.11월 파주시 매매 매물수 증감>

‘23.11월 파주시 매매 매물수 증감표입니다.

동별로 살펴보면 금촌동이 제일 많이 감소를 했고
세부단지를 살펴보면 특정아파트가 많이 감소하기 보다는
전체적으로 골고루 감소한 모습입니다

(2) 인천 부평구

수도권 아파트

<‘23.11월 인천 부평구 매매 매물수 증감>

‘23.11월 인천 부평구 매매 매물수 증감표입니다.

동별로 살펴보면 부개동이 제일 많이 감소를 했고

파주시와 마찬가지로
특정아파트가 많이 감소하기 보다는 전체적으로 골고루 감소한 모습이네요.

(3) 수원시 장안구

수도권 아파트

<‘23.11월 수원시 장안구 매매 매물수 증감>

‘23.11월 수원시 장안구 매매 매물수 증감표입니다.

동별로 살펴보면 율전동이 제일 많이 감소를 했고

전체적으로 골고루 감소한 모습이네요.
세 지역 다 비슷한 느낌입니다.

수도권 아파트

<매매 매물수 증감 그래프>

아직 세 지역 다
평균 매물수에 비해 매물수가 많은편인데요.

세 지역만 나타내었지만
이런 그래프의 모습은 수도권 공통적으로 다 똑같은 모습입니다.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평균이하로 내려온다면 그때는 아파트 가격의 상승을 기대해볼 수 있을텐데요.
하지만 아직 갈길이 멀어 보이네요.

계속 이런 흐름이 이어질지 꾸준히 모니터링 하도록 하겠습니다.

1-2 전세 매물수

수도권 아파트

<‘23.11월 전세 매물수 증감>

[네이버 부동산] 기준 ‘23.11월 한달간
수도권 아파트의 전세 매물수 증감수 및 증감율입니다.(분양권 제외)

마찬가지로
빨간색이 한달간 매물수가 감소한 지역이고
파란색이 한달간 매물수가 증가한 지역인데요.

매매 매물수와는 달리 ‘23.11월에는
감소한 지역(빨간색) 보다 증가한 지역(파란색)이 더 많아 보이네요.

수도권 아파트

<‘23.1~10월 전세 매물수 증감>

올해 전세 매물수의 흐름은 매매 매물수와 완전 정반대인데요.

‘23.1~10월까지
몇몇 지역을 제외하면
대부분의 지역이 많이 감소를 했습니다.

그러면서 전체적으로 전세가가 많이 상승을 했죠.


위에서 매물수가 많이 감소한 지역 상위 3군데의 지역의 매물수를 자세히 보도록 하겠습니다.

(1) 인천 부평구

수도권 아파트

<‘23.11월 인천 부평구 전세 매물수 증감>

‘23.11월 인천 부평구 전세 매물수 증감표입니다.

동별로 살펴보면 산곡동과 청천동이 제일 많이 감소를 했는데요.
특히 [부평캐슬&더샵퍼스트] 단지가 -76건으로 제일 많이 감소를 하였는데요.

이 단지는 ‘23.11월 입주단지로 입주장을 치루면서 전세건수가 많이 감소한 모습인것 같습니다.
생각보다는 전세매물 소화가 빠른것같아 보이네요.

다음은 서초구입니다.

(2) 서울 서초구

수도권 아파트

<‘23.11월 서초구 전세 매물수 증감>

동별로 살펴보면 반포동이 제일 많이 감소를 했고
그 중 [레미안월베일리] 단지가 -331건 감소로 많은 감소를 보였는데요.

인천 부평구와 마찬가지로
이 단지는 ‘23.08월 입주단지로 입주장을 치루면서 전세건수가 많이 감소한 모습입니다.

많은분들이 안좋은 부동산 분위기에 최상급지의 많은 공급으로 매물소화에 걱정을 했었는데요.
걱정과는 달리 전세는 빨리 빠지고 있는 모습이네요.

(3) 수원시 장안구

수도권 아파트

<‘23.11월 수원시 장안구 전세 매물수 증감>

‘23.11월 수원시 장안구 전세 매물수 증감표입니다.

동별로 살펴보면 파장동이 제일 많이 감소를 했고
그 중 [포레나북수원] 단지가 -61건 감소로 가장 많은 감소를 보였는데요.

이 단지도 마찬가지로 ‘23.9월 입주단지로 빠르게 매물이 소화되고 있네요.

수원시 장안구는 매매와 전세 모두 11월달에 매물수가 많이 감소한 지역입니다.

수도권 아파트

<전세 매물수 증감 그래프>

세 지역의 매물수 추이를 보면
매매와는 정반대의 모습으로

올초부터 급격히 매물수가 감소하면서
평균 매물수보다 많이 부족한 상황입니다.

올해 수도권 전세가는 어느정도 반등을 했는데요.
아직까지는 매물수가 평균이하 이기에
좀 더 상승할만한 여지도 있어 보입니다.

이런 현상은 수도권 공통적으로 다 똑같은 모습이구요.
매매와 전세 모두 전반적으로 수도권 시장은 같은 모습으로 가고 있습니다.

정리를 하자면

매매 매물수는 ‘23.1~10월까지 많이 증가했고
‘23.11월 들어 그 증가세가 좀 멈추고 감소하는 지역이 생겼구요.

전세 매물수는 이와 반대로
‘23.1~10월까지 많이 감소했고
‘23.11월 들어 그 감소세가 좀 멈추고 증가하는 지역이 생겼습니다.

이러한 흐름이 계속 이어진다면
매매는 공급량의 부족으로 부동산 가격의 상승이,
전세는 공급량의 증가로 부동산 가격의 하락이 나타낼 수 있겠죠.


계속 이러한 흐름이 이어질지는 꾸준히 살펴보는게 중요한것 같습니다.

그럼
다음 ‘23.12월 매물수 흐름을 통해 찾아뵙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그림 및 데이터 출처

※ 참고 할만한 글 : 2024년 대구광역시 부동산 전망 – [5탄] fin.

댓글 남기기